Step by Security Study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1) 본문
1. pwd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 출력
2. cd
- 디렉터리 변경
- 사용 형식
cd 디렉터리명 -> 지정한 디렉터리로 위치 변경
* 디렉터리명 : 하위 경로로 가려면 디렉터리 이름만 입력해도 되지만 다른 경로로 갈때는 경로를 정확하게 지정해줘야 함
cd 또는 cd ~(틸드)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로 위치 변경
* ~(틸드) : 계정의 홈 디렉터리
cd ~계정명 -> 지정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로 변경
* 경로
- 절대 경로 : 파일 시스템 전체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덜대적인 위치를 시작하는 경로
* 파일 시스템 전체 = / (최상위 루트)
- 상대 경로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함
3. ls
- 디렉터리 하위에 목록 출력
- 파일이나 디렉터리 존재 유무 확인
- 사용 형식
ls [option]
ls [option] 디렉터리명
- option
-l : 자세히
-n : 소유권(UID와 GID)의 ID(값)가 출력
- a : 숨김 디렉터리와 숨김 파일이 포함되어서 출력(파일이나 디렉터리 맨 앞에 .(점)은 숨김)
-d : 지정한 디렉터리를 출력 (자기 자신)
-R : 지정한 디렉터리 하위에 파일이나 디렉터를 모두 출력
-F: 파일의 형식으로 기호를 출력
-> 맨 끝에 /는 디렉터리를 의미
-> 맨 끝에 기호가 없으면 파일을 의미
-> 맨 끝에 @은 심볼릭 링크(바로가기) 파일 (참고로 -l 옵셕과 같이 사용하면 심볼릭 링크 파일의 원본파일을 출력)
-> 맨 끝에 *은 실행 파일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구조 (0) | 2023.10.02 |
---|---|
리눅스 프롬포트(Prompt)란 무엇인가? (0) | 2023.10.02 |
Linux의 계층적 구조 (0) | 2023.10.02 |
리눅스(Linux)란 무엇인가? (1) | 202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