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눅스 (5)
Step by Security Study
1. pwd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 출력 2. cd - 디렉터리 변경 - 사용 형식 cd 디렉터리명 -> 지정한 디렉터리로 위치 변경 * 디렉터리명 : 하위 경로로 가려면 디렉터리 이름만 입력해도 되지만 다른 경로로 갈때는 경로를 정확하게 지정해줘야 함 cd 또는 cd ~(틸드)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로 위치 변경 * ~(틸드) : 계정의 홈 디렉터리 cd ~계정명 -> 지정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로 변경 * 경로 - 절대 경로 : 파일 시스템 전체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덜대적인 위치를 시작하는 경로 * 파일 시스템 전체 = / (최상위 루트) - 상대 경로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함 3. ls - 디..
1. 명령어 - 명령어만 치면 바로 동작 - 사용 형식 pwd ls 2. 명령어 디렉터리(또는 파일) - 사용 형식 ls /home (디렉터리) cat /etc/hostname (파일) 3. 명령어 [option] - 사용 형식 ls -la 4. 명령어 [option] 디렉터리(또는 파일) - 사용 형식 ls -l /home ls /home -l 5. 명령어 [option] [sub option] - 사용 형식 ls -l -d 또는 ls -ld ls -d -l 또는 ls -dl => 위치를 바꾸면 안되는 경우도 있음 6. 명령어 [option] [sub option] 디렉터리(또는 파일) - 사용 형식 ls -l -d /home 또는 ls /home -ld ls -l /home -d ls /home -l..
프롬포트 (Prompt) 컴퓨터가 입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어 주기 위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신호 형태 [test@localhost ~]$ - test : 계정명 - @ : E-mail 주소 형식 : 계정명과 서버명을 구분 - localhost : 서버명 - ~ : 현재 경로 (위치) - [ ] : bash 형태 : 리눅스의 대표 Shall (명령어 해석기) 중의 하나 - # : 관리자 - $ : 사용자 계정
/ -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 또는 최상위 디렉터리 - 리눅스의 모든 디렉터리의 시작점(꼭대기) / Windows의 C 드라이브와 비숫 /bin -> /usr/bin - 기본 명령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Windows의 C:\Windonws\와 비슷) - 관리자와 사용자 계정이 사용할 수 있음 /boot - 리눅스 부트로더(boot loader)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dev - 장치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 Windows의 장치 관리자 역할 /etc -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의 설정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서버 관련 작업) /home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다시 말해,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경로 /root - 관리자의 홈 디렉터..

Linux 란? Operating System의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인 커널(Kernel)에 한 종류 -> Operating System : 운영 체제 (OS) :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가벼운 운영 체제 -> 컴퓨터에서 가볍다는 의미는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한다는 의미. 리눅스의 경우 윈도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CPU,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가볍다는 말을 사용하게 된다.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 Kernel?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운영체제(OS)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입출력을 관리하고 소프트웨어로 부터의 요청 (System call)을 컴퓨터에 있는 하드웨어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가 처리할 수 있도록 요청 (System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