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68)
Step by Security Study
1. pwd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 출력 2. cd - 디렉터리 변경 - 사용 형식 cd 디렉터리명 -> 지정한 디렉터리로 위치 변경 * 디렉터리명 : 하위 경로로 가려면 디렉터리 이름만 입력해도 되지만 다른 경로로 갈때는 경로를 정확하게 지정해줘야 함 cd 또는 cd ~(틸드)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로 위치 변경 * ~(틸드) : 계정의 홈 디렉터리 cd ~계정명 -> 지정한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로 변경 * 경로 - 절대 경로 : 파일 시스템 전체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덜대적인 위치를 시작하는 경로 * 파일 시스템 전체 = / (최상위 루트) - 상대 경로 :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함 3. ls - 디..
1. 명령어 - 명령어만 치면 바로 동작 - 사용 형식 pwd ls 2. 명령어 디렉터리(또는 파일) - 사용 형식 ls /home (디렉터리) cat /etc/hostname (파일) 3. 명령어 [option] - 사용 형식 ls -la 4. 명령어 [option] 디렉터리(또는 파일) - 사용 형식 ls -l /home ls /home -l 5. 명령어 [option] [sub option] - 사용 형식 ls -l -d 또는 ls -ld ls -d -l 또는 ls -dl => 위치를 바꾸면 안되는 경우도 있음 6. 명령어 [option] [sub option] 디렉터리(또는 파일) - 사용 형식 ls -l -d /home 또는 ls /home -ld ls -l /home -d ls /home -l..
프롬포트 (Prompt) 컴퓨터가 입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나타내어 주기 위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나는 신호 형태 [test@localhost ~]$ - test : 계정명 - @ : E-mail 주소 형식 : 계정명과 서버명을 구분 - localhost : 서버명 - ~ : 현재 경로 (위치) - [ ] : bash 형태 : 리눅스의 대표 Shall (명령어 해석기) 중의 하나 - # : 관리자 - $ : 사용자 계정
/ -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 또는 최상위 디렉터리 - 리눅스의 모든 디렉터리의 시작점(꼭대기) / Windows의 C 드라이브와 비숫 /bin -> /usr/bin - 기본 명령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Windows의 C:\Windonws\와 비슷) - 관리자와 사용자 계정이 사용할 수 있음 /boot - 리눅스 부트로더(boot loader)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dev - 장치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 Windows의 장치 관리자 역할 /etc -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의 설정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서버 관련 작업) /home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다시 말해,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경로 /root - 관리자의 홈 디렉터..

Linux 란? Operating System의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인 커널(Kernel)에 한 종류 -> Operating System : 운영 체제 (OS) : 하드웨어를 직접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가벼운 운영 체제 -> 컴퓨터에서 가볍다는 의미는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한다는 의미. 리눅스의 경우 윈도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CPU,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가볍다는 말을 사용하게 된다. 리누스 토발즈가 개발 Kernel?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운영체제(OS)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입출력을 관리하고 소프트웨어로 부터의 요청 (System call)을 컴퓨터에 있는 하드웨어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가 처리할 수 있도록 요청 (System call..
Telnet은 원격 서비스로 멀리 있는 시스템을 마치 내 앞에 있는 것처럼 관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기본포트는 23번을 사용하며, TCP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다만, Telnet의 경우 데이터를 평문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암호화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안이 취약하죠. Telnet에 보안 기능이 추가된 것이 SSH입니다. Telnet과 달리 원격 시스템과 통신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의 도청과 데이터 변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SSH의 기본 포트는 22번을 사용합니다.
개념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를 기반으로 수신자의 MAC 주소를 알아올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ARP 요청은 브로드 캐스트 방식이다. ARP Cache 임시 저장 공간 목적 : 재사용성 ARP 요청을 보냈던 시스템은 ARP 응답을 수신하면 질의 대상 시스템의 하드웨어 주소와 IP 주소를 로컬 캐시(Cache)에 저장함 -> 송신 시스템이 수신 시스템에게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먼저 Cache 내용을 참조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사용 -> 먼저 Cache 내용을 참조하게 함 = 또 다른 요청을 브로드 캐스트 할 필요가 없어짐으로 로컬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 저장된 정보는 일정 시간이 지날때까지 사용되지 않으면 지워짐 정보 저장 시간은 일반적으로 2분 2분 이내 다시 통..

IP (논리적)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들을 구분해 주는 주소 (주소가 같은 다른 장비가 존재한다면 IP 주소가 서로 충돌) 구성 : IP = Network ID + Host ID 하나의 네트워크란 하나의 Broadcast Domain으로 L3 장비를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영역 (LAN) 동일한 네트워크에서는 Network 부분은 모두 같고 Host 부분은 모두 달라야 한다. IP 주소를 Network 부분과 Host 부분으로 구분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Subnet mask이다. Subnet Mask =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식별자 (=Broadcast Domain) IP 주소를 Network 부분과 Host 부분을 구분하는 구분자. -> IP = Network ID (고정된 bit) ..
개념 어떤 네트워크 안에 있는 한 장비가 브로드캐스트를 전송했을 때 그 브로드캐스트가 퍼지는 전체 범위 라우터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구분 -> 라우터 : 네트워크를 구분 지으며 브로드 캐스트가 다른 네트워크에 송신되지 않도록 막는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개수 세기 -> 그림 필요 참고 Switch가 콜리전 도메인을 나눌 수 있는 이유? -> 각 디바이스의 구분자 MAC 주소 등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Router가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는 이유? -> 논리적 주소. 즉! 네트워크 주소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CSMA / CD (Carrier Sen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이더넷 : Ethernet :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 중 하나 (LAN) 통신하고자 하는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살펴봐서 아무도 통신을 하고 있지 않으면 무조건 자기 데이터를 실어서 보낸 다음 잘 갔는지 확인해 보는 방식 그런데 만약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중첩 또는 겹침)의 컴퓨터나 서버에서 데이터를 실어보내려고 하면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콜리전(Collision)이라고 한다. 콜리전이 발생하면 이 두 PC는 자신이 보내려던 데이터를 랜덤한 (우리가 느끼지 못할 만큼 짧은 시간) 시간을 기다렸다가 다시 보내게 된다. 참고 Carrier Sen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