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by Security Study
Linux의 계층적 구조 본문
/
-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 또는 최상위 디렉터리
- 리눅스의 모든 디렉터리의 시작점(꼭대기) / Windows의 C 드라이브와 비숫
/bin -> /usr/bin
- 기본 명령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Windows의 C:\Windonws\와 비슷)
- 관리자와 사용자 계정이 사용할 수 있음
/boot
- 리눅스 부트로더(boot loader)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dev
- 장치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 Windows의 장치 관리자 역할
/etc
- 시스템의 거의 모든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의 설정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서버 관련 작업)
/home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다시 말해,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경로
/root
- 관리자의 홈 디렉터리 (windows의 adminstrator 와 비슷)
* Windows는 관리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이 같이 들어 있는 반면 Linux는 /home, /root로 나누어져 있다.
/lib -> /usr/lib
- 커널, 모듈, 라이브러리 (언어 해석기) 파일들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media
- 로컬 장치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ex) Blueteooth, WIFI
/opt
- 추가한 소프트웨어 설치한 파일들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proc (Processor)
- 커널과 프로세스를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이 들어있는 디렉터리
/run
- 계속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관련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sbin -> /usr/sbin
- 시스템 명령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 (C:\windows\system32\와 비슷)
- 관리자만 사용 가능
/srv
- 시스템이 필요로하는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sys
-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tmp
- 공용 디렉터리
- 임시 저장소 (서비스 사용시 관련 파일이 잠시 보관되었다가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사라짐)
/usr
- 시스템이 아닌 사용자 계정 또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서비스를 설치하는 디렉터리
- 크기가 크거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들이 들어 있음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기록이 저장되는 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터리 ex) 로그 파일, 사용자 계정의 메일 파일 등
swap
- 가상 메모리 (파티션을 마치 진짜 메모리 처림 인식)
- 자신의 RAM이 4GB이하면 RAM의 2배, 자신의 RAM이 4GB이상이면 RAM 그대로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1) (0) | 2023.10.03 |
---|---|
리눅스 명령어 구조 (0) | 2023.10.02 |
리눅스 프롬포트(Prompt)란 무엇인가? (0) | 2023.10.02 |
리눅스(Linux)란 무엇인가? (1) | 202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