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by Security Study
캡슐화 인캡슐레이션 디캡슐레이션 정리 본문
캡슐화 개념
OSI 계층 모델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각 계층을 지나면서,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온 정보를 데이터로 취급하며, 자신의 계층 특성을 담은 제어 정보 (주소, 에러 제어 등)를 헤더와 시켜 붙이는 일련의 과정
-> Header : 각 프로토콜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 묶음
-> 각 계층에서 필요한 정보를 담는 곳
-> 데이터 : 송신자가 보내는 메시지를 담는 곳 -> 다음 계층의 정보를 담고 있음
인캡슐레이션 (Encapsulation)
각 계층의 프로콜들이 헤더에 정보를 기록하여 하위 계층으로 내려보낸다. 이렇게 상위 계층 정보에 자신의 헤더를 부착하는 것을 말함
PC에서 다른 PC로 데이터를 전송할 떼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과정
데이터 -> 4계층 세그먼트 -> 3계층 패킷 -> 2계층 프레임 -> 1계층 -> 전송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에러를 확인하기 위해 프레임의 꼬리에 추가적으로 필드를 덧붙이며, 이를 트레일러(trailer)라고 함
예시)
포장 과정 - 꿀을 할머니네 집 부산으로 택배를 보낸다.
7~5계층 : 우선 만들어진 꿀을 산다. (어플리케이션 역할 끝)
4계층 : 꿀 포장 (제품이 온전히 할머니에게 보내기 위해 포장 / Tcp, UDP 사용)
-> 실질적인 오류 제러를 여기서함
3계층 : 할머니네 주소 적기 (IP 주소/ 출발지와 목적지를 쓴다.)
2계층 : 택배 아저씨한테 물건 맡기면 됨 -> 택배 아저씨가 물건 부류 후 운송장 붙임 -> 우리가 신경 쓸일 아님
1계층 : 택배 전송
디캡술레이션 (Decapsulation)
반대로 수신 측의 각 계층이 자신의 헤더를 제거하는 것
상대방이 데이터를 볼 수 있게 다시 데이터로 바꿔주는 것을 말함
전송된 것 -> 2계층 프레임 -> 3계층 패킷 -> 4계층 세그먼트 -> 데이터
예시)
1계층 : 택배사가 택배를 받음
2계층 : 운송자 코드를 찍어서 목적지 확인 (Source Mac / Destnation MAC)
3계층 : 택배 아저씨가 할머니네 집까지 배송 (Source IP / Destnation IP)
4계층 : 할머니네 집에 꿀 도착, 할머니가 박스 해제 (TCP 또는 UDP)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Way Handshaking (0) | 2023.09.23 |
---|---|
3 Way Handshaking (0) | 2023.09.23 |
TCP/IP 4계층 모델 (0) | 2023.09.23 |
OSI 7 계층 장비 (0) | 2023.09.23 |
OSI 7 계층 (3) | 2023.09.17 |